법인세는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이익(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기업이 성장하면서 법인세 부담도 커지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 방법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절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법인세 계산 방식, 절세 전략, 세금 감면 제도 등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법인세 계산 과정 | 기본 원리
법인세는 단순히 매출에서 정해진 비율만큼 부과되는 것이 아닙니다.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고려한 ‘과세표준’을 계산한 후, 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을 산출합니다.
✔ 법인세 계산 공식
법인세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 법인세율 - 세액공제 및 감면
✔ 법인세 계산 과정
1️⃣ 총수입금액(매출) 계산 →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총 매출액
2️⃣ 필요경비(비용) 차감 → 인건비, 임대료, 감가상각비 등
3️⃣ 과세표준 산출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4️⃣ 법인세율 적용 → 구간별 법인세율 곱하기
5️⃣ 세액공제 및 감면 적용 → 최종 납부할 법인세 결정
📌 과세표준이 높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 절세를 위해 기업의 비용 처리를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산출세액
✔ 법인세 산출세액 =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 + 토지 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 미환류소득에 대한 법인세
1) 사업연도가 1년인 경우의 일반 법인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
과세표준 (소득 금액) | 법인세율 |
---|---|
2억 원 이하 | 9% |
2억 원 초과 ~ 200억 원 이하 | 1,800만원 + 2억 초과금액의 19% |
200억 원 초과 ~ 3,000억 원 이하 | 37억 8천만원 + 200억 초과금액의 21% |
3,000억 원 초과 | 625억 8천만원 + 3천억 초과금액의 24% |
📌 기업이 벌어들인 소득이 클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 계산 금액은 적립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 토지 등의 양도소득이 있는 법인의 산출세액
✔ 토지 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 (토지 등 양도금액 - 양도 당시의 장부가액) × 적용세율
✔ 적용 세율
- 국내에 소재하는 주택 및 별장: 20%
- 비사업용 토지: 10%
- 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로서 조합원입주권 및 분양권: 20%
✔ 양도소득
각 자산별로 계산한 양도소득을 합산하며 양도차손이 발생하는 경우 다음 순서로 차감하여 계산
- 양도차손이 발생한 자산과 같은 세율을 적용받는 자산의 양도소득에서 차감
- 양도차손이 발생한 자산과 다른 세율을 적용받는 자산의 양도소득에서 차감
- 단, 순차로 차감하고도 남은 양도차손은 이월공제하지 않음
3. 법인세 계산 예시 | 실제 사례 적용
예제 1: 순이익 1억 원 법인세 계산
✔ 과세표준: 1억 원 (2억 원 이하)
✔ 적용 세율: 9%
✔ 법인세 계산: 1억 원 × 9% = 900만 원
📌 순이익 1억 원인 법인은 900만 원의 법인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예제 2: 순이익 50억 원 법인세 계산
✔ 과세표준: 50억 원
✔ 적용 세율:
- 2억 원 이하 → 9% 적용
- 2억 원 초과 ~ 200억 원 이하 → 19% 적용
✔ 법인세 계산: (2억 원 × 9%) + (48억 원 × 19%) = 1,800만 원 + 9억 1,200만 원 = 9억 3,000만 원
📌 즉, 순이익 50억 원인 기업은 9억 3,000만 원의 법인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4. 법인세 절세 전략 |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법인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합법적인 절세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비용 지출 최적화
- 기업의 운영비, 인건비, 감가상각비 등을 철저히 기록하여 필요경비로 인정받기
- 법인카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비용 증빙 철저히 관리
2) 연구개발(R&D) 비용 활용
- 연구개발비, 신기술 투자 비용 등을 적극 활용하면 세액공제 가능
- 중소기업의 경우 R&D 투자금 일부를 세액 공제받을 수 있음
3) 법인세 감면 혜택 활용
-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지방 이전 기업 감면, 사회공헌 활동 감면 등 다양한 세금 감면 제도 활용
4) 손실금 이월공제 활용
- 기업이 적자가 발생한 경우, 앞으로 10년간 이익에서 차감 가능
- 이월결손금 공제를 활용하여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음
5) 기부금 공제 적용
- 기부금(법정 기부금, 지정 기부금)은 일정 한도 내에서 세액공제 가능
이러한 절세 전략을 적절히 활용하면, 법인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5. 법인세 계산과 절세 전략 핵심 요약
✔ 법인세는 과세표준(순이익)에 따라 차등 과세됨
✔ 소득이 높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므로 절세 전략이 중요함
✔ 법인세 계산은 매출이 아니라 ‘순이익’을 기준으로 산정됨
✔ 기업 운영비, 연구개발비, 손실금 이월공제 등을 활용하면 절세 가능
✔ 법인세 신고는 사업연도 종료 후 3개월 내 반드시 해야 하며, 미납 시 가산세가 부과됨
📌 다음 글에서는 ‘법인세 신고 절차’에 대해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